본문 바로가기

정치

어셈블리






11 . 부동산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 드라마 전체에서 가장 인상깊었다_


1.

Assembly.

국회를 배경으로 정치 드라마.


작가가 국회 의원 보좌관으로 일했었다.

그래서 현실적으로 느껴진 드라마.



2.

계파 갈등_

선거를 앞두고 추가 경정 예산을 통해 자기 지역구 SOC 사업을 확보하려는 노력_

공천권을 두고 다투는 모습_

마치 뉴스가 이야기해주지 않는 이면을 보는 같았다.



3.

작가는 이런 이야기를 하고 싶은 같았다.

정치하는 사람들을 너무 미워만 하지 말아달라고.

나름 최선을 하는건데 뭐가 있어야 법안을 만들든 말든 있다고.

하나를 만들려고 해도 세월이고, 여러 사람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고.

좋은 마음만 가지고는 없는 일이 많다고.

국회의원 뭐하는지 알지도 못하면서 욕만하고 정치에 무관심해지지 말라고.

별거 아닌 같은 작은 관심들이 모이면 표로 연결될 있다고.



4.

11 

부동산 정책 이야기가 나왔다.


(3분 영상)




흔한 부동산 대책 하나는

세금을 깎아주는 .

부동산 관련 세금의 종류는 크게 두가지.

사고 내는 세금(양도세-거래가액의 %, 집사고 팔았을 벌어들인 소득세))

집을 가지고 있으면 매년 내야하는 세금(보유세-주택세, 토지세)

나눠지는데

우리나라는 양도세 비중이 크기 때문에

보통 양도세 깎아준다.


사고 내는 세금(양도세) 깎아주면 부동산 거래가 활발해지니까

집을 사고 팔고 하면 집값이 올라가니까

이게 부동산 경기 활성화로 이어지고

부동산 경기가 활성화되면 시중에 돈이 풀리니까

경제가 활성화 된다는 .


그런데_

논리는 집이 적어도 채는 있는 사람에게 의미가 있다.


어차피 채인 사람은 집값이 오르나 내리나 집에 살아야 하니까.


그리고_

없고 없는 전세 사는 사람들은

고통을 감내해야 한다.

월세도 전세도 오를 테니까.


집을 사고팔아서 있는 사람( 이상 있는 사람)이라 해서 문제가 없는 아니다.

집값이 오르면 아파트값만 오르는 아니고

동네 땅값이 오른다.

상가의 가격이 오르면 임대료가 오르고 임대료가 오르면 모든 상품의 가격이 올라간다.

상품의 가격이 오르면 상대적으로 임금은 내려간다.


결국 부동산 활성화 정책으로 살아난 경기는 수치상의 성장일

일상생활이 개선되지는 않는다.

_ 많이 가진 사람의 삶은 더욱 윤택해지겠지만.


이러한 부작용을 막으려면

집과 땅을 실제로 사용할 목적으로 소유하도록 유도해야한다.

집 사고팔고 땅 사고 파는 걸로는 돈을 못벌게.

그렇게 유도하기 위해서는 땅과 관련된 세금 비중을


보유세(가지고만 있어도 내야하는 세금) 비중 > 양도세 비중


이렇게 설정하면 된다.


이렇게하면 투기를 덜하니까 쓸데 없이 투기 때문에 땅값이 오를 일 없고

임대료도 덜 오를 것이기에

월세, 전세, 집한채에 사는 사람들의 삶이 나아지는.



땅을 많이 가지는 어때서? 열심히 노력해서 모아서 건물주 되는 어때서? 라고 있지만.


그렇게 따지면_

 

갑질이 어때서

악덕 사업주가 어때서

군대에서 폭행하는 어때서

도둑질 하는 어때서

배임하고 살고 돈으로 평생 먹고 사는 어때서

페이퍼 컴퍼니 통해서 탈세하는 어때서

노예제도가 어때서

친일이 어때서


사회의 부조리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없다.


사회 초년생을 위한 정책은 언제쯤 주목받고 언제쯤 토론의 대상이 있을까.

부동산 경기 활성화라는 이름으로서 결국은 있는 사람, 집이 적어도 채는 있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제도만 나도는 같다.



5.

16

묵비권.

잘했든 못했든 조사받을 일 있으면, 묵비권 행사가 좋은 아닐까.

검찰 조사를 받을 증거로 말하게 하라는 형사법의 대원칙을 떠올리며

나는 증거 하나도 하지 않겠다는 마음으로 가만히 있는 가장 좋은 대응 아닐까.

진술하면 형량을 감해주겠다는 등의 회유는 법적 효력이 없으니까 믿을게 못될 같다는 생각이 든다.



6.

20

마지막회.

뒤로 갈수록 드라마가 어설퍼?졌다(원래 드라마란 그런건가;)

10 넘어가면서부터는


아무튼 _봤다. 본방사수는 아니었지만, 좋은 시도였던 같다.

작가가 경험했던 세계의 이면을 (아마도) 있었다.

작가가 하고 싶었던 말을 담을 있어서 후련했을 같다는 생각도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