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차.

(636)
서울발 사진종합(2013.12.18.-30.)
문재인이 드립니다 (2013.12.23.) 노력해도 달라지지 않는 현실에 지치고희망이 보이지 않는 미래에 좌절하며상식이 통하지 않는 사회에 분노하는대한민국의 청춘들에게문재인이 드립니다시련 앞에 당당해지는 법을우리가 꿈꾸는 세상으로 다가가는 법을사람과 사람이 만나 함께 행복해지는 법을(표지) 성공으로 얻는 것이 51이라면, 실패로 얻는 것은 49입니다.우리는 결과가 아니라 과정에서 모든 것을 얻습니다. 아무것도 얻지 못하는 최악의 실패가 있다면,그것은 실패가 두려워 시작하지도 않는 것뿐입니다. (p21) 서울의 봄 1980년 서울의 봄을 잊을 수 없습니다. 박정희 정권이 무너지고 그동안 제적당했던 수많은 학생들이 한꺼번에 복학했습니다. 저도 복학이 되어 5년만에 학교로 돌아갈 수 있었습니다. 그때 저는 사법고시를 치르는 중이었습니다. 하지만 시국이..
공지영 '도가니' 저자와의 대화 http://youtu.be/wxEg78qj4oc 공감.사람을 사랑하는 것. 마음을 울린 사람 다섯명 . . 2013.12.26.
한비야 '그건 사랑이었네' 저자와의 대화 http://youtu.be/tvEWdiMyGYc 완전 강추_ 꿈을 이룰 수 있을지 너무 큰 꿈을 꾸는게 아닌지 고민이라는 고3 여학생의 질문에 이렇게 대답한다. 전세계에 굶는 아이들이 없어지는 게 자신의 꿈이지만 그 꿈은 이뤄지지 않을 것이다.. 이룰 수 없는 꿈이지만 포기할 수 없는 꿈이다. 될지 안될지는 해봐야 아는 것. 하나님이 주신 달란트, 각 사람에게 준 선물이 무엇인지는 해 봐야 안다. 왜 사회 제도에 대해서, 왜 우리 나라의 굶는 아이들에 대해서, 왜 북한 아이들에 대해서는 관심을 갖지 않는냐는 질문에는 그 분야는 그걸 전문으로 하는 분들이 있으니 그 분들이 할 것이라고 대답한다. 자기는 전문 분야가 해외 아동에 관한 것이라고_ 재난의 현장에서 책 읽을 여유가 있나 그 시간에 한 사람이라도..
오원근 '검사 그만뒀습니다' 저자와의 대화 http://youtu.be/Ozx6QqOAOaI 이것도 오래 전에 본거라 가물가물하지만 가진것을 포기해본 사람의 이야기..라는게 기억에 남는다. 2013.12.26.
오연호 '노무현, 마지막 인터뷰' 저자와의 대화 http://youtu.be/ByNLGj1Lm2g 이것도 기억이 잘 안난다. 본지 오래되기도 했고 책도 읽어버려서.. 영상을 보면서 무슨생각을 했는지 가물가물;;; 2013.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