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차.

(636)
통일을 보는 눈 (2012.7.8.) 지난 주말에 폭풍 독서한 세 번째 책. ㅎ.ㅎ 이것도 막상 읽고 보니 쪼금., 그래., ㅎㅎ... ;. 그래.,ㅎ. 음...ㅋ.ㅋ 이 책은,, 원래 `통일은 대박이다'라는 책을 사려 했는데 못사서 사게 됐다..;ㅋㅋㅋ;; 엄청 우연히 사게 된 책인데, 좋았다_ㅎ 일단 쉬웠고_ㅎㅎㅎ..ㅎ 통일_원래 관심이 있었고 평생의?! 공부거리로 사명으로 여기며.. 살아갈 생각인데.,ㅎ 그래서 꼬박꼬박 통일 관련 책을 읽으려 한다 나라를 지키는 군인아저씨로서,, 주적인 북한을 알 필요도 있고!~! 겸사 겸사 )_( 첫 단추 ㄱ.ㄱ.ㅎㅎㅎ 책을 펴내며 이 책을 쓴 이유_ 기성 세대와 젊은 세대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통일론?을 공유하고 싶다고 한다그리고 이념이나 편견이 아닌 합리적인 판단으로 북한 문제에 접근하길 바라는..
통일은 대박이다 (2012.9.6.~11.) 이 책은 장교대에서 신문을 보다가 발견!한 책)ㅋㅋ 간략하게 책 소개 해 둔 기사를 읽었는데 왠지 끌려서 임관하고 난 뒤에 샀다. 머리말 제1장 우리가 통일을 만들어야 한다. 1. 통일을 외면하는 정부와 국민 저자는 통일에 대해 무기력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들고 있다. 첫째, 역대 정부의 방향감각 상실둘째, 국민들의 인식 문제 - 우리의 힘으로는 할 수 없고 결국 강대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통일이 결정될 것이다.셋째, 자유민주주의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잘못된 이기주의가 먼저 들어오게 된 폐단.넷째, 무기력한 패배주의 2. 통일을 외면해도 될까? 통일을 미루는 한 분단비용은 계속 지불된다. 제2장 통일의 경제적 이해득실 실상 1. 통일 소요자금 포함 통일 비용 가. 통일 소요자금과 비용 종류 통일 소요자금과 ..
통일 실험, 그 7년 (2012.11.27.~29.) 이 책은 한반도평화연구원총서 5권이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에서 어떻게 살아가는지 패널연구한 논문을 엮은 책. 2010년에 출간된 책. 통일을 준비하며 북한을 알기 위해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연구보고서 형식이라 여러 데이터가 등장하는데 데이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데이터를 분석한 내용만 정리하려 한다. 서론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알기 위해 패널 연구를 통한 횡단연구가 필요하다. 시간의 변화에 따라 정책이 어떤 효과를 발휘했는지 알기 위해. 이 연구를 하는데 몇 가지 난제가 있었다.첫째, 북한이탈주민 200명을 장기간 꾸준히 만나는 것. 그러나 7년간의 연구 기간 동안 53%의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둘째, 꾸준한 연구비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 제공되는 연구비는 대부분 1~2년의 단기간 연구로 구성되어 있..
통일 북한 이슈 100 (2013.2.20.~3.5.)
쾌도난마 한국경제(10.2.12~3.2.) 1부 우리의 과거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11 1장 개혁 강화는 종속 심화라는 아이러니 13 * 신자유주의의 특징_ 저투자 저성장 고용불안 이 책은.,. 05년에 써진 책인데도 지금 상황을 정확히., 말하고 있는거 같다.. 아., 신자유주의...ㅠ... 덕분에 .. 기업은 소극적인 투자를 할 수 밖에 없다., 아니,, 어쩌면 당연히 소극적인 투자를 해야만 한다.. 무조건 이윤을 볼 수 있는 곳에만 투자하는 것.. 신자유주의.,로 개방되면서 외국의 자본... 이전에는 차관 형식이었지만 이제는 주식으로 경영권을 압박할 수 있는 외국의 자본이 들어온 것이다.. 외국 자본은 우리나라의 발전보다는 자신들의 이윤에 관심이 많고,, 그래서 모험적인 투자보다는 주식값을 높일 수 있는, 보다 돈을 벌 수 있는 것에 집..
컬처 메이킹 Culture Making(2012.2.10.~20.) 부제: Recovering Our Creative Calling 이 책은 문서학교에서 선택식 강의 중 하나인 `그리스도와 문화' 강의 관련 추천 도서라서 읽게 되었다. 일종의 과제로?!표지와 목차를 보니 세계관에 관한 이야기인 것 같다. 서문 이 책은 문화적 책임감의 문턱에 서 있는 사람들과 기독교 공동체를 위한 것이다(p10). 문화에 대한 소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새롭고도 아주 오래된 길을 보여주기 위해 이 책을 썼다(p11).1부에서는 사회학의 도움을 받아 복잡한 인간 현상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부에서는 복음을 문화 이야기로 이해하는 새로운 방식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3부에서는 우리가 해야 할 일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제1부 문화 1장 가능성의 지평선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역사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