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차.

(636)
친구처럼 알아가는 하나님 Personal GOD(2012.1.24.) 이 책은 재작년?부터 누군가(주로 1년차나 새벗)에게 추천만 해주고 정작 나는 읽어보지 않은 책이라서 샀다. 무슨책인지도 모르고 목차와 광고 내용만 보고 많이도 추천 해줬는데 앞으로도 더 많이 추천해주기위해, 제대로 추천해 주기 위해 읽어보고 싶었다.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관계에 대해서 어떻게 설명해줄까?'. `나는 하나님과 어떤 관계 속에 있는가?' 두 질문을 가지고 책을 읽으려 한다. 제1부 인격적인 만남이란? 1장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관계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무엇이 인격적인 요소가 될 수 있겠는가? 가능한 현실적인 관점에서, 내가 무엇을 기대할 수 있을까? 어떻게 그런 인격적인 관계를 경험할 수 있으락? 하나님에 관한 신학 지식을 쌓는데 그치지 않고 인격적인 하나님을 진정으로 알려면 어떻게 해야 할..
책을 읽는 방법 (2012.10.17.~19.) 사고 보니 일본인이 쓴 책이다. 오.ㅎ. 어디서 추천을 해 줘서 읽게 된 책인데 당직을 서며 읽었다. 부제는 히라노 데이치로의 슬로 리딩. 들어가는 글에서 저자는 속독 콤플렉스에서 해방될 필요가 있다고 이야기한다. 책을 빨리, 많이 읽는 것보다 천천히, 곱씹으며 즐기며 책을 읽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제1부 양에서 질로의 전환 - 슬로 리딩 기초편 '슬로 리딩'이란, 한 권의 책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시간을 들여 천천히 읽는 것이다(p19). 여행을 할 때 시간에 쫓겨 급하게 다니지 않고 천천히 둘러볼 때 즐거움을 느끼는 것 처럼, 책을 천천히 읽으면 그 속에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책을 쓰는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책이 천천히 읽힐 것을 기대하며 다양한 기법을 활용해 글을 쓰기마련인데 속독을 하..
책 읽는 방법을 바꾸면 인생이 바뀐다 (2012.2.4) 이 책은 예전에 조기성 간사님이 독서법 관련 책을 추천해 줬을 때 알게 되었다. 이 책이랑 `어떻게 천천히 읽을 것인가?' 이 두 권을 추천해주셨다. 두 권 다 1년차 때 도서관에서 빌려 읽었던 기억이 나긴 하지만 제대로 안 읽었던 것 같다. 책을 보다 풍성히 읽기 위해 독서법을 배우자_ ㄱㄱ 서문 독서의 목적에 따라 독서의 방법도 달라야 한다. 인격 성숙을 위한 독서는 철저하게 읽고 반복해서 읽는 것이 중요하고, 정보 습득을 위한 독서는 많이 읽고 빨리 읽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의 1장에서는 모티머 애들러의 `독서법'에 대한 핵심을 정리하며, 2장에서 인격 성숙을 위한 독서법, 3장에서 전문지식을 얻기 위한 독서법을 살펴본다. 제1장 독서법의 기본기를 철저히 마스터하라 이 장에서는 모티머 애들러의 `..
창조 타락 구속 Creation Regained (2012.1.31~2.1.) 부제: Biblical Basics for a Reformational Worldview 이 책은 재웅이와 자희에게 10-11 BLC 때 선물로 받은거_ 세계관 입문 책. 1장 세계관이란 무엇인가? 1. 서론1-1) 세계관: 한 사람이 사물들에 대해 가지는 근본적 신념들의 포괄적인 틀1-1-1) 사물들: 우리 신념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것1-1-2) 세계관은 개인의 신념의 문제. 신념은 `지적 주장'이라는 점에서 감정이나 의견과 구별된다.1-1-3) 세계관은 사물들에 관한 근본적 신념과 관계가 있다1-1-4) 세계관은 일정한 유형과 틀이 있다 2. 세계관의 역할세계관은 삶을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누구도 세계관이 제공하는 이와 같은 방향 감각이나 인도 없이는 살 수 없다. 의사결정을 할 때도 세계관은 영..
진보의 미래 (2012.11.4.) 진보의 미래 - 다음 세대를 위한 민주주의 교과서 이 책은 노무현 대통령이 퇴임 이후 추진했던 연구 프로젝트의 미완성본이다. 노 대통령이 구상했던 책의 내용을 이리저리 짜깁기한 탓에 정신 없긴 하지만 그의 생각을 엿볼 수 있었다. 2009년에 11월 쓰여진 책이고 책의 내용은 08년 말부터 09년 5월 서거 직전까지의 내용이다. 1부 진보의 미래 1부는 노 대통령이 비공개 카페에 올린 책의 구성을 정리한 내용이다.노대통령은 민주주의든 진보든 국민이 생각하는 만큼 발전한다는 생각하에 국민의 생각을 고양할 수 있는 책을 쓰고자 한다.그는 퇴임 이후 시민 주권 운동을 하고자 했는데 이 연구가 하나의 과정이라고 생각했다. 1. 국가의 역할을 고민하자 자라나는 아이들의 미래는 어떠할 것인가?오늘을 살아가는 아이들..
진보와 빈곤(2013.2.14.~18.) 이 책은 헨리 조지의 ‘진보와 빈곤’을 중심으로 여러 저작들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둔 책이다. 사실 ‘진보와 빈곤’을 그대로 번역한 것인 줄 알고 읽기 시작했는데 읽다보니 그게 아니었다. 헨리 조지는 미국에서 태어나 남북전쟁이 일어났고 대륙횡단철도가 부설되는 등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살았다. 소년 시절부터 온갖 직업을 전전하면서 혹독한 가난을 체험했다. 이런 개인적 경험을 통해, 사회가 눈부시게 진보하는데도 빈곤이 사라지지 않는 원인을 밝히고 해결하는 일을 일생의 과업으로 삼았다. 독학으로 사상적・학문적으로 높은 수준에 도달해, 뛰어난 사회개혁가・저술가・언론인으로 명성을 날렸다. (책날개) 들어가는 글 우리나라 부동산 문제를 몇 가지만 살펴보자. 첫 번째 문제는 토지 소유가 심하게 편중되어 있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