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차.

(636)
서울대 인문학 글쓰기 강의 (2012.1.22.~24.) 제목만 보고 글쓰기에 관한 책이 아닐까 싶어서 샀는데 서론에서 단박에 이 책은 그런 책이 아니라고 말한다. 인터넷으로 책을 살 때의 문제점. 순간 책 뒷 표지에 있는 가격을 보게 되었다. 14500. 이 책은 글쓰기 강의에 대한 책이다. 근데 재밌을 것 같다. 이 강의는 얼마나 좋길래 책으로까지 나올까? 강의를 책으로 쓰면 어떤 내용이 나올까? 궁금하기도 하고. 1장 글 놀이판의 큰 그림 2장 글 놀이판에 중요한 것사람, 관심, 솔직함, 성실함, 오프라인과 온라인 강의실. 3장 우리의 글 놀이판에 없는 것 글쓰기에 대한 정보, 주제에 관련된 정보는 학생들 개인이 충분히 찾아낼 수 있다. 하지만 함께 문제를 고민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경험은 혼자서는 불가능하다. 인문학 글쓰기 강좌의 수업 시간은 바로 여기..
생각을 넓혀주는 독서법(2012.1.11~20.) 살펴보기1. 속표지, 서문2. 목차3. 색인4. 표지 광고문5. 논점의 중심이 될 만한 장6. 마지막 2~3쪽 질문하기1. 전반적으로 무엇에 관한 글인가2. 무엇을, 어떻게 자세하게 다루고 있는가3. 전반적으로, 부분적으로 볼 때 그 글은 맞는 이야기인가?4. 의의는 무엇인가? 분석하며 읽기 1원칙: 어떤 부류의 책을 읽고 있는지2원칙: 통일성, 즉 그 책의 전체를 꿰뚫는 일관된 흐름을 간단한 문장으로 이야기해보라3원칙: 주요부분을 찾아, 그 부분이 어떤 순서에 의해 전체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파악하라4원칙: 저자가 풀고 싶어 하는 문제를 찾아내라5원칙: 중요한 단어를 찾아 저자가 어떤 용어로 사용하고 있는지 파악하라6원칙: 가장 중요한 문장에 주목하라, 그리고 그 안에 담겨진 명제를 찾으라7원칙..
새로운 그리스도인이 온다 A New Kind of Christian (2012.10.6.) 11-12 BLC 때 샀던 책이다. '새로운...' 시리즈 예전부터 읽고 싶었는데 이제서야 읽네.. 얼마전에 나온 책이라고 생각했는데 원문은 2000년에, 번역된 것은 2008년에 출간되었다. 모던적 세계관으로 신앙을 해석했던 예전의 세계관을 살펴보고 포스트모더니즘적 세계관으로 바라본 신앙을 이야기한다. 이야기는 냅킨전도처럼 대화 방식으로 전개된다. 들어가는 글 기독교 자체가 결함이 있고 실패했으며 허위이거나, 서구 사회의 상업화되고 산업 지향적이며 모던적인 형태의 기독교가 심각한 수준의 개정을 필요로 한다(p23). 본서 '새로운 그리스도인이 온다'에서 나는 비록 간접적으로나마 몇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탐구하려고 한다.1. 나는 왜 과거와 동일한 종류의 그리스도인이 아닌가?2. 새로운 종류의 그리스도..
상처 입은 치유자 The Wounded healer (2012.12.26~27.) 이 책은 왜 샀을까?! 생각해보면 이것도 그냥 샀다..ㅋ.ㅋ 근데 별 5개짜리.. +_+.^^, 좋다.. VVIP 당첨. 근데.. 쪼금.. 아쉬운건 쫌 어렵다. 복잡한게 아니라, 확 와닿지 않는다고 해야할까?.. 약간의 의역이 필요한듯.ㅠ 이 정리글은 쫌 심혈을 기울여 정리해야지. 이 책은 1972년에 헨리 나우웬이 쓴 책이다. 우리나라엔 99년에 번역 되었다고 적혀 있다. 머리말 고통받고 있는 세상의 상태(1장)고통받고 있는 시대의 상태(2장)고통받고 있는 개인의 상태(3장)고통받고 있는 사역자의 상태(4장)에 대해 다룬다. 사역자의 부르심은 자신의 시대가 처한 고통을 그 마음으로 깨닫는 것이며, 그 깨달음으로부터 그의 사역이 시작되기 때문입니다(p10) - 여기서 저자가 어떤 의미로 '사역자'라는 표..
상위그룹 5% 학생들의 공부 비법 (2012.12.14.~2013.2.8.) 떠오르는 잡념을 없애려 하기보다 오히려 목표로 바꾸어, 정해 놓은 공부 양을 마치고 나면 그 잡념을 할 수 있도록 약속하는 방법이 있다(p24) 어학은 감각 기관을 종합적으로 이용할 때 효율적으로 암기할 수 있다. 어학뿐 아니라 모든 과목에서 '눈으로 보고, 입으로 말하고, 손으로 쓰는' 세 가지 감각으로 공부를 하면 눈으로만 공부할 때보다 세 배의 학습효과를 거둘 수 있다.(p108-109) 다렌바크와 젠킨스는 한 실험에서 '공부를 하고 바로 잠든 경우 두 시간 동안은 어느 정도 기억이 감소되지만 그 뒤로는 더 이상 감소되지 않는다. 그러나 잠을 안 자고 공부를 할 때는 기억의 감소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여덟 시간만 지나면 매우 급속한 기억 감소가 관찰된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밤을 새는 것이 '정확한..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 현대사 (10.2.4~2.12.) 1장 1945~194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세우다 1. 건국의 중심이 된 인민위원회 2. 돌아온 공산주의자들 3. 변화의 바람을 몰고 온 토지개혁4. 대립, 협상, 그리고 두개의 정부 5. 사회주의 개혁의 시작 -역사노트 *토지개혁 1만5천평 이상 소유한 자의 토지는 모두 몰수해서 노동력의 정도에 따라, 가족수에 따라 점수를 매겨 분배하고,, 마을에 살던 대지주는 소작인들과의 분쟁을 막기위해 다 이주시키고,, 으.,. 엄청 획기적인 사태..이었을꺼 같다.. 평생 자기땅을 가질 수 없었던,, 지금으로 따지면,,마치.. 집없는사람에게 수백채 가진사람의 집을 뺏어서 나눠준셈??.. 이런 소문을 들었으니.. 남한에서도 공산당의 지지율이 높아질 수 밖에 없고,, 그러니..미국입장에서는,, 남북한 총선거는 이뤄..